외이도는 귓바퀴부터 고막까지 연결된 통로를 의미합니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감염되어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외이도염이라고합니다
증상 정도에 따라 급성 외이도염 / 만성 외이도염 / 악성 외이도염으로 구분되며,
급성 외이도염의 경우 여름에 빈번히 생기는 흔한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외이도는 귓바퀴부터 고막까지 연결된 통로를 의미합니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감염되어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외이도염이라고합니다
증상 정도에 따라 급성 외이도염 / 만성 외이도염 / 악성 외이도염으로 구분되며,
급성 외이도염의 경우 여름에 빈번히 생기는 흔한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외이도의 염증을 확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이경이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고막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이경은 손전등 같이 생긴 도구로 외이와 고막을 볼 수 있으며,
감염을 나타내는 고막의 염증이나 외이도의 고름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고실 측정법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기 펌프가 연결된 것으로 작고 부드러운 귀마개를
귀에 넣고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줄 때
고막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는 검사법입니다.
소리를 듣는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청력 손실의 유무를 판단하고 청력 소실이 있다면 정도와 유형,
변병 부위 등을 알아내며 중이강에 지속적으로
삼출액이 고여 있는지 등을 확인 가능합니다.
외이도염을 치료하는 동안 물이 귀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평소 귀를 자주 만지는 습관이 있으면 반드시 고쳐야 하며,
외이에 상처가 날 만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함께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10~14일 정도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할 경우 대부분 호전이 가능합니다.
생활습관 개선은 외이도염 증상 관리와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귀지는 보통 더럽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외이도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오히려 면봉을 이용하여 귀지를 파내다가 외이도나 고막에 상처를 내는 경우가 많고 상처를 통하여
감염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곰팡이 균은 우리 몸 어디에나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외이도에 감염이 된 경우를 이진균증이라고 하며, 주증상은 가려움, 이루, 이물감 등이 있습니다.
귀지의 성상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즉, 유전적, 인종적으로 상이합니다.
흑인과 백인의 경우에는 습하며 끈적거리고 갈색인 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개 건조한 회색 귀지의 양상을 보입니다.
저희 잘봄이비인후과는 이비인후과 전문의 2인 협진은 물론이며,
각 분야에 오랜 경험과 풍부한 노하우를 갖추고 있는 전문 인력 구성원들과 함께합니다.